본문 바로가기

👨‍👩‍👧 사춘기 길잡이/2025년 학교폭력 대응 절차

[학교폭력 대응 절차 2편] 학교폭력 발생 시, 부모와 학교의 첫 대응은 무엇일까?

반응형

"햇살이 비추는 빈 교실에 ‘학교폭력 발생 시 첫 대응’ 문구가 중앙에 쓰인 이미지."

 

 

 학교폭력은 갑작스럽게 찾아옵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평범했던 아이가 “나 괴롭힘 당했어”라고 말하는 순간, 부모의 마음은 무너집니다.  하지만 그 순간부터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회복 속도와 학폭 절차의 방향이 크게 달라집니다.

 

오늘은 부모가 처음에 해야 할 일학교가 즉시 취하는 절차를 순서대로 정리합니다.

 

 

1. 부모가 해야 할 첫 행동

① 아이의 말을 믿고 들어주기

  • 아이가 용기 내어 학폭 사실을 말했을 때,
    “네가 뭘 잘못한 거 아니야?”라는 반응은 2차 상처를 줍니다.
  • 부모는 판단보다 경청을 우선해야 합니다.

② 기록 남기기

  • 언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 했는지 아이가 말하는 내용을 날짜와 함께 메모하세요.
  • 부모가 직접 정리한 “피해 진술 기록”은 훗날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③ 증거 확보하기

  • 문자, 카톡, SNS 캡처
  • 상처 사진, 병원 진단서
  • 목격자 진술
    👉 증거 확보가 곧 아이를 지키는 방패가 됩니다.

④ 아이 보호하기

  • 아이가 심리적으로 불안하다면 등교 전 학교에 알리고 분리 조치를 요청하세요.
  • 필요하다면 단기간 결석도 가능하지만, 반드시 “학교와 협의 후” 진행해야 합니다.

 

2. 학교에 알렸을 때 절차

학교는 신고를 받는 즉시 정해진 프로세스를 가동합니다.

 

① 신고 접수

  • 담임교사 → 학교폭력 전담기구 → 교감·학교장 보고
  • 학교는 접수 내용을 반드시 기록으로 남겨야 합니다.

② 긴급 보호 조치 검토

  • 피해 학생을 가해 학생과 즉시 분리
  • 필요 시 상담 지원, 학습 보조, 임시 학급 배치
  • 학부모 동의하에 조치 시행

③ 초기 사실 조사

  • 학교장은 피해·가해·목격 학생을 면담
  • 진술서·자료를 확보하여 교육지원청에 보고
  • **중대한 사안(상해·협박·성폭력 등)**은 경찰에 즉시 통보

 

3. 부모가 꼭 챙겨야 할 포인트

  1. 학교에 서면 의견서 제출
    • “학부모 진술서”는 향후 학폭위에서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
    • 구두로 말하는 것보다 문서로 남기는 게 훨씬 유리합니다.
  2. 학교 조치 모니터링
    • 피해 학생 분리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 상담·학업 지원이 제공되는지 확인하세요.
  3. 외부 신고도 가능
    • 117센터(전화·앱·문자) → 24시간 접수
    • 중대한 사안은 경찰 병행 신고도 적극 권장됩니다.

 

4. 사례로 보는 첫 대응

사례 1. 초등학교 5학년 A군

  • 단톡방에서 지속적인 욕설·강퇴
  • 부모가 증거 캡처 후 학교에 신고 → 학교는 즉시 분리 조치, 상담 지원
  • 학폭위 결과: 가해자 특별교육 + 사회봉사

사례 2. 중학교 2학년 B양

  • 신체 폭행으로 멍 발생
  • 부모가 병원 진단서 발급 → 학교장 보고 + 경찰 신고
  • 학폭위 결과: 가해자 출석정지 + 학급 교체

👉 공통점: 부모가 “증거 확보 → 학교 신고 → 기록 남기기”를 잘했기 때문에 절차가 명확히 진행될 수 있었습니다.

 

전문가 코멘트

“학교폭력에서 가장 중요한 건 **‘처음 48시간의 대응’**입니다.
부모가 차분히 기록과 증거를 확보하고, 학교에 공식적으로 알리면 아이의 권리를 제대로 지킬 수 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FAQ)

 

Q1. 우리 아이가 신고를 원하지 않는데, 그래도 부모가 해야 하나요?
👉 네. 아이가 두려워할 수 있지만, 신고하지 않으면 피해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부모는 보호자의 책임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Q2. 학교에 말하면 무조건 학폭위로 가나요?
👉 아닙니다. 학교는 먼저 초기 조사 후, 사안의 중대성에 따라 학폭위 회부 여부를 결정합니다.

 

Q3. 부모가 직접 경찰에 먼저 신고해도 되나요?
👉 가능합니다. 특히 상해·협박·성폭력 등은 학교와 동시에 경찰에 신고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결론

 

학교폭력 발생 직후, 부모의 침착한 첫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아이의 말을 믿고 들어주고, 기록과 증거를 확보한 뒤, 학교에   알리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 다음 편(3편)에서는 학교폭력 신고 및 접수 절차를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 전체 시리즈 보기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작은 클릭이 앞으로의 글을 이어가는 큰 힘이 됩니다!

 

📚 참고문헌

  • 교육부,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2025 개정판)
  • 교육부,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 매뉴얼」 (2024)
  • 한국교육개발원,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2023)

 

#️⃣ 추천 해시태그 


#학교폭력 #학폭대응 #학교폭력예방 #학폭첫대응 #학교조치 #학폭신고 #학폭증거 #학폭위 #학생상담 #부모교육 #자녀상담 #학교상담 #초등학교학폭 #중학교학폭 #고등학교학폭 #학부모필독 #학교생활 #사춘기부모 #마음에너지길잡이 #FeelSpaceTalk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