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Leadership/🤝 부모자녀 상호작용

🌳 [부모-자녀 상호작용 4편] 칭찬과 격려, 동기부여의 기술과 주의점

반응형

시작하며

부모라면 누구나 아이를 칭찬하고 격려하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칭찬이 항상 긍정적인 효과만 주는 것은 아닙니다. 칭찬은 아이를 성장하게도 하지만, 잘못 사용하면 아이를 외부 평가에만 의존하게 만드는 위험도 있습니다. 따라서 칭찬과 격려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칭찬의 힘과 위험, 그리고 아이에게 진정한 동기를 불어넣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사례: 칭찬의 힘과 함정

사례 1 – 결과만 칭찬한 경우
“와, 시험 100점이야? 정말 똑똑하다!”라는 말은 순간 아이에게 뿌듯함을 줍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아이는 ‘성적이 좋을 때만 사랑받는다’  고 느끼며 결과 중심적인 사고에 빠지기 쉽습니다.

 

사례 2 – 과정과 노력을 칭찬한 경우
“이번에 네가 열심히 계획 세우고 공부했구나. 그 노력이 멋지다”라는 말은 아이가 자신의 행동과 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고 느끼게 합니다. 이는 성적과 관계없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다는 내적 동기를 키워줍니다.

 

🔍 핵심 설명: 칭찬과 격려의 두 얼굴

  1. 긍정적 효과 – 자존감 향상
    부모의 칭찬은 아이에게 **“나는 가치 있는 존재”**라는 신호를 줍니다. 특히 노력과 과정 중심의 칭찬은 아이의 자존감을 튼튼히 합니다.
  2. 위험 요소 – 외부 평가 의존
    결과 중심의 칭찬이 반복되면 아이는 타인의 평가 없이는 동기부여를 얻지 못하는 성향으로 굳어질 수 있습니다. 결국 자기주도성이 약화될 위험이 있습니다.
  3. 격려의 힘 – 성장 마인드 형성
    격려는 단순히 잘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가능성과 성장을 믿어주는 태도입니다. 이는 실패 속에서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줍니다.

 

✅ 부모 실천 팁 

결과보다 과정을 칭찬하기
점수, 상장보다는 아이의 노력, 태도, 창의적인 시도를 인정하세요.

구체적으로 칭찬하기
“잘했어” 대신 “네가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문제를 풀었구나”처럼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효과가 커집니다.

비교하지 않기
“형보다 잘했네”라는 말은 일시적으로 동기부여가 될 수 있지만, 결국 형제 간 경쟁심만 키우고 자기 가치를 비교 속에서 찾게 만듭니다.

실패 속 노력 인정하기
결과가 좋지 않아도 “이번엔 아쉽지만, 네가 도전한 게 대단해”라고 말하면 아이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게 됩니다.

격려로 마무리하기
칭찬은 순간적이고 외적인 힘이지만, 격려는 아이 내면에 오래 남습니다. “나는 네가 해낼 수 있다고 믿어”라는 격려의 말이 아이의 장기적 동력이 됩니다.

 

 

전문가 코멘트

심리학자 캐롤 드웩(Carol Dweck)의 연구에 따르면, 지능을 칭찬받은 아이는 실패를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였고, 노력을 칭찬받은 아이는 실패에도 다시 도전하는 태도를 보였습니다.

 

실제로 상담 현장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많습니다. 시험 성적이 좋을 때만 칭찬을 받던 아이는 작은 실패에도 자신감을 잃고 쉽게 포기했습니다. 반대로 결과가 기대에 못 미쳐도 “네가 노력한 건 충분히 알 수 있었어”라는 말을 들은 아이는 다시 시도할 용기를 얻었습니다. 연구와 현장 경험 모두, 노력과 과정을 인정하는 칭찬과 격려가 아이의 성장 마인드를 키운다는 점을 일관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마무리

칭찬은 아이를 춤추게 만들 수 있는 강력한 힘이지만, 잘못 사용하면 아이를 불안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반면 격려는 아이의 내면을 단단하게 세우는 지속적인 에너지입니다.

 

예를 들어, 시험 성적이 기대에 못 미쳤을 때도 “너는 왜 이렇게 못하니?”라는 말 대신, “이번엔 아쉽지만 네가 노력한 건 분명 보였어”라는 말 한마디가 아이에게는 다시 일어설 힘이 됩니다. 부모의 작은 언어 선택이 아이의 자존감을 지켜주고 성장 곡선을 바꾸는 결정적 힘이 될 수 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FAQ)

Q1. 칭찬을 너무 자주 하면 효과가 떨어지지 않나요?
👉 네, 칭찬이 남발되면 진심이 약해집니다. 필요한 순간, 구체적인 칭찬이 더 큰 힘을 발휘합니다.

 

Q2. 성적이 좋지 않을 땐 뭐라고 말해야 하나요?
👉 결과보다는 노력과 태도를 인정하세요. “성적은 아쉽지만, 네가 끝까지 포기하지 않은 게 자랑스럽다”고 말해 보세요.

 

Q3. 아이가 칭찬을 기대할 때마다 해줘야 하나요?
👉 아이가 스스로 만족할 수 있도록, 칭찬 대신 **“네가 어떻게 생각해?”**라는 질문으로 자기 성찰을 유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참고문헌

  • Dweck, C. S. (2006). Mindset: The New Psychology of Success. Random House.
  • Henderlong, J., & Lepper, M. R. (2002). The effects of praise on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28(5), 774–795.
  • 이지현 (2021). 「부모의 칭찬 유형과 아동 자기효능감의 관계」, 아동학연구, 42(1), 87-105.

 

해시태그 

#부모자녀상호작용 #칭찬과격려 #동기부여 #부모교육 #자녀교육 #성장마인드셋
#아동심리 #부모코칭 #부모길잡이 #FeelSpaceTalk #마음에너지길잡이 #소통
#육아소통 #양육팁 #부모역할 #정서발달 #아이와대화 #심리학 #가족상담 #부모블로그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 다음 글: [5편 – 경청의 방해 요소 8가지]

반응형